도리얌 님의 블로그

살아가면서 필요한 정보들

  • 2025. 4. 16.

    by. Doriyam

    목차

       

      우리는 흔히 “옛날”이라는 말을 쓰곤 하죠.
      하지만 지질학에서 말하는 ‘옛날’은 차원이 다릅니다.
      수십억 년 전, 지구가 처음 생겨났던 그 순간부터, 공룡의 시대를 지나 오늘날까지—이 긴 시간을 지질학자들은 **지질 시대(geologic time scale)**라는 커다란 퍼즐로 나눠서 이해하고 있어요.

       

      📄 지질학 시리즈 4화 – 지질 시대: 돌에 새겨진 지구의 시간


      🧭 지질 시대란?

      지질 시대는 지구가 생성된 약 46억 년 전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을 과학적으로 나눈 체계예요.
      이 시간은 단순히 연도로 나눈 것이 아니라, 암석층에 새겨진 변화들—예를 들어 대륙의 이동, 생물의 대량 멸종, 환경 변화 등—을 기준으로 구분돼요.

      마치 연대기처럼:

      누가 살았는가?, 어떤 일이 벌어졌는가?, 환경은 어땠는가?

      를 중심으로 시간이 정리돼 있는 거죠.


      🧱 지질 시대의 기본 구조

      지질 시대는 아래와 같이 큰 단위에서 작은 단위로 나눠져 있어요:

      1. 누대(Eon) – 가장 큰 시간 단위 (수억~수십억 년)
      2. 대(Era) – 수억 년 단위
      3. 기(Period) – 수천만~억 년 단위
      4. 세(Epoch) – 수백만 년 단위

      🕰️ 지구의 시간 여행: 네 개의 누대

      1. 현생누대 (Phanerozoic Eon) – 생명체가 눈에 띄게 등장한 시대 (약 5억 4천만 년 전 ~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공룡, 삼엽충, 포유류, 인간까지… 거의 모두 이 누대에 속해요!

      • 고생대 (Paleozoic Era): 삼엽충, 어류, 양서류 등장
      • 중생대 (Mesozoic Era): 공룡의 시대!
      • 신생대 (Cenozoic Era): 포유류의 번성, 인류 등장

      2. 원생누대 (Proterozoic Eon) – 다세포 생명체의 출현

      • 산소 대기 형성, 단단한 껍데기를 가진 생명체 등장

      3. 시생누대 (Archean Eon) – 최초의 생명 등장

      • 원시 생명체인 시아노박테리아, 최초의 생물 흔적 발견

      4. 한생누대 (Hadean Eon) – 지구 탄생 초기

      • 지각 형성 이전, 마그마 바다의 시대

      🦖 고생대 – 바다에서 육지로

      • 5억 4천만 년 전 ~ 2억 5천만 년 전
      • 캄브리아기: 삼엽충, 해양 생물 대폭발 (캄브리아기 대폭발!)
      • 데본기: 최초의 육상식물과 어류
      • 석탄기: 거대한 고사리 숲 → 석탄 형성

      🧪 특징: 생물 다양성 폭발, 최초의 척추동물, 육지 생명 진출


      🦕 중생대 – 공룡의 전성시대

      • 2억 5천만 년 전 ~ 6,600만 년 전
      • 트라이아스기 → 쥐라기 → 백악기 순서로 진행
      • 공룡, 익룡, 어룡 등장
      • 백악기 말, 소행성 충돌로 대멸종

      🌿 특징: 파충류의 시대, 꽃식물 등장


      🐘 신생대 – 포유류와 인간의 시대

      • 6,600만 년 전 ~ 현재
      • 팔레오세기: 공룡 멸종 이후 포유류의 번성
      • 신세생기(플라이스토세): 빙하기, 매머드 등장
      • 홀로세 (~현재): 인류 문명 등장

      👣 특징: 인류 출현, 기후 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


      💀 대멸종 – 지구의 리셋 버튼

      지질 시대를 구분하는 큰 사건 중 하나가 바로 **대멸종(Mass Extinction)**이에요.
      대표적인 5번의 대멸종 중 가장 유명한 건 바로 **공룡 멸종 사건 (약 6,600만 년 전)**이죠.

      그 외에도:

      • 페름기 말 대멸종: 해양 생물의 90% 이상 사라짐
      • 오르도비스기 멸종: 해양 생물 대규모 소멸

      이런 사건들은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고, 새로운 생명들이 번성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어요.


      🧬 화석, 지질 시대를 읽는 열쇠

      지질학자들은 어떻게 이런 긴 시간을 알아낼 수 있었을까요?

      그 열쇠는 바로 화석이에요.
      각 시대에는 특정 생물이 주로 존재했기 때문에, 그 생물이 포함된 암석층을 보면 그 시대를 추정할 수 있어요.
      또한 방사성 동위원소 연대 측정 기술을 통해 절대 연대도 계산할 수 있죠.

      예를 들어, 암모나이트가 발견되면 대체로 중생대 암석일 가능성이 크고,
      삼엽충이 보이면 고생대 지층일 가능성이 높아요.


      🗺️ 요약: 지질 시대의 흐름

      누대주요 시대생명체 특징주요 사건
      한생누대 없음 없음 지구 탄생, 마그마 바다
      시생누대 없음 단세포 생명 최초 생명 등장
      원생누대 없음 다세포 생명 산소 대기 형성
      현생누대 고생대~신생대 다양한 생물 대멸종, 인류 등장

      🌱 마무리하며 – 시간이 쌓인 돌들

      지구의 땅은 단순한 흙덩어리가 아니에요.
      그 속에는 수십억 년의 시간, 그리고 생명과 멸종, 진화와 변화의 이야기가 차곡차곡 쌓여 있어요.
      지질 시대를 이해하면, 그저 돌처럼 보이던 지층도 하나의 시간 캡슐처럼 느껴질 거예요.

      다음에 바위 절벽을 본다면, 그 속에 담긴 이야기를 떠올려 보세요.
      혹시 공룡의 발자국이 숨어 있을지도 모르니까요 🦖


      🔜 다음 이야기 예고

      다음 편에서는 화석에 좀 더 집중해볼 거야!
      화석은 어떻게 생기고, 무엇을 알려주는지, 그리고
      고생물학자들이 돌 속에서 생명의 역사를 어떻게 읽어내는지 알아볼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