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우리가 살아가는 지구는 겉보기엔 하나의 거대한 돌덩어리처럼 보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지구는 마치 양파처럼 여러 겹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그 속에는 뜨거운 열기, 끊임없이 움직이는 물질, 그리고 상상 이상의 에너지가 숨어 있죠.
이번 글에서는 지구의 구조를 바깥에서 안쪽까지 차례대로 들여다보며, 지각–맨틀–핵이라는 지구의 세 겹의 세계를 함께 여행해볼 거예요.
🌍 겉은 단단하지만, 속은 뜨겁다
지구는 반지름 약 6,371km의 구형 행성입니다.
표면은 단단한 암석으로 덮여 있지만, 그 속은 점점 더 뜨겁고 밀도가 높은 물질들로 이루어져 있어요. 지질학자들은 지구를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눕니다:- 지각(Crust)
- 맨틀(Mantle)
- 핵(Core)
이 구조는 단순히 층을 나눈 게 아니라, 각각의 성질과 움직임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해요.
🪨 지각 – 우리가 서 있는 곳
지각은 지구의 가장 바깥쪽에 있는 얇고 단단한 껍질이에요.
이 두께는 생각보다 얇아서, 대륙 지각은 평균 30~40km, 해양 지각은 5~10km 정도에 불과하죠.
비유하자면, 사과껍질보다도 얇은 수준이에요.지각은 판 구조론에서 말하는 ‘판’의 일부로, 지각+맨틀의 상부가 모여 **암석권(리소스피어)**을 이룹니다.
이 얇은 층 위에서 대륙이 움직이고, 지진이 나고, 화산이 터지는 거예요.
🌋 맨틀 – 지구 에너지의 흐름
지각 아래에는 맨틀이 자리하고 있어요.
맨틀은 지구 전체 부피의 약 **84%**를 차지할 정도로 매우 큽니다.
두께는 약 2,900km에 달하고, 주로 고온의 고체 암석으로 되어 있죠.하지만 이 암석이 완전히 고체인 건 아니에요.
오랜 시간에 걸쳐 보면 마치 액체처럼 천천히 흐르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요.
이걸 맨틀 대류라고 부르는데, 이 대류가 지각을 움직이고 판을 이동시키는 원동력이 되는 거예요.🌡️ 맨틀의 온도는 위쪽은 약 500도, 아래쪽은 무려 4,000도까지 올라가요!
🔥 핵 – 지구의 뜨거운 심장
지구 중심에는 거대한 **금속 코어(Core)**가 있어요.
핵은 다시 **외핵(액체)**과 **내핵(고체)**으로 나뉘어요.- 외핵(Outer Core):
지구 중심에서 약 2,900~5,100km 지점까지 위치하며, 액체 상태의 철과 니켈로 이루어져 있어요.
이 액체가 회전하며 지구 자기장을 만들어냅니다. - 내핵(Inner Core):
중심에서 약 5,100~6,371km까지, 고체 상태의 철과 니켈로 이루어져 있어요.
압력이 너무 커서 액체가 될 수 없고, 단단한 구슬처럼 존재하죠.
💡 지구 자기장은 우주에서 날아오는 유해한 입자들을 막아주는 보이지 않는 보호막 역할을 해요!
🧭 지구 속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아니, 우리가 땅을 그렇게 깊이 파보지도 않았는데 어떻게 속을 아는 거지?"
좋은 질문이야!
실제로 인류가 가장 깊이 뚫은 땅은 러시아의 콜라 초심도 시추공인데, 깊이가 겨우 12km 정도야.
그런데 지구는 6,000km 넘게 깊은데 말이지.지질학자들은 지진파를 이용해 지구 내부를 분석해요.
지진이 발생하면 땅속을 파고드는 파동(지진파)이 다양한 물질을 통과하며 속도와 방향이 바뀌는데, 그걸 분석해서 지구 속의 밀도나 상태를 추정할 수 있어요.
이걸 마치 CT 촬영처럼 생각하면 이해가 쉬워요!
🗺️ 요약 정리
층위깊이 (km)상태주요 성분특징지각 0~40 고체 규산염 얇지만 단단한 표면 맨틀 40~2,900 고체(유동성 있음) 규산염, 철, 마그네슘 대류가 일어나는 층 외핵 2,900~5,100 액체 철, 니켈 자기장을 생성 내핵 5,100~6,371 고체 철, 니켈 지구 중심의 고체 핵
🌱 마무리하며 – 지구는 살아 있다
이처럼 지구는 단순한 돌덩어리가 아니라, 복잡하고 역동적인 구조를 가진 생명력 있는 행성입니다.
맨틀의 흐름, 핵의 회전, 지각의 이동… 이 모든 것이 어우러져 지구라는 행성을 움직이고 있어요.우리가 보는 산과 바다, 대륙은 그저 지구 표면의 일부일 뿐.
그 아래에는 끝없는 움직임과 에너지의 드라마가 펼쳐지고 있다는 걸 기억해두면, 지구를 바라보는 시선이 조금은 달라질 거예요.
🔜 다음 이야기 예고
다음 편에서는 바로 이 지각이 움직이면서 만들어낸 거대한 퍼즐,
판 구조론 이야기를 다룰 거예요. 대륙은 어떻게 이동하고, 왜 지진과 화산은 특정 지역에 집중될까요?혹시 궁금한 점이나 꼭 다뤄보고 싶은 지점이 있다면 언제든 이야기해줘.
지금까지 땅속 여행에 함께해줘서 고마워! 다음엔 더 깊이 파 내려가 보자 😊'지질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지질학 시리즈 5화 – 화석 이야기: 돌 속에 잠든 생명의 흔적 (0) 2025.04.16 📄 지질학 시리즈 4화 – 지질 시대: 돌에 새겨진 지구의 시간 (0) 2025.04.16 📄 지질학 시리즈 3화 – 돌, 지구의 일기장: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 이야기 (0) 2025.04.16 📄 지질학 시리즈 2화 – 판 구조론: 움직이는 대륙, 살아 있는 지구 (0) 2025.04.16 📄 지질학 시리즈 프롤로그 – 땅이 들려주는 오래된 이야기 (0)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