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왜 시간은 한 방향으로만 흐를까?
우리는 과거에서 미래로 향해 살아간다.
컵은 깨지지만 다시 붙지 않고,
뜨거운 커피는 식지만
식은 커피가 저절로 뜨거워지지 않는다.이처럼 시간이 단방향으로 흐른다는 직관은
우리 삶의 기본 전제가 되지만,
물리학의 기본 법칙은 시간을 거꾸로 해도 성립한다.그럼에도 왜 현실은 다르게 보일까?
이 질문에 대한 과학적 답변은
열역학 제2법칙,
즉 엔트로피(무질서도)의 증가에서 비롯된다.
1. 열역학 제2법칙의 정리
1.1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엔트로피(Entropy)는
어떤 계(system)의 무질서도 혹은 가능한 미시상태의 수를 의미한다.
즉, 더 많은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는 상태일수록
엔트로피는 더 크다.예:
- 얼음 결정 → 낮은 엔트로피
- 녹은 물 → 높은 엔트로피
1.2 열역학 제2법칙
고립된 계에서 엔트로피는 항상 증가하거나 일정하며, 감소하지 않는다.
→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질서는 무질서로,
조직은 해체로 향한다.이것이 바로
**열역학적 시간의 화살(Thermodynamic Arrow of Time)**이다.
2. 우주와 엔트로피
2.1 빅뱅 우주는 매우 낮은 엔트로피 상태
놀랍게도,
빅뱅 직후의 우주는 고온, 고밀도였지만
엔트로피는 낮았다.이는 초기 우주가 매우 균일하고 정돈된 상태였기 때문이다.
→ 시간이 지나면서
은하가 형성되고, 별이 폭발하고, 블랙홀이 생기면서
우주는 점점 더 무질서해지고 있다.2.2 블랙홀과 엔트로피
블랙홀은 가장 높은 엔트로피를 가진 천체로 간주된다.
→ 스티븐 호킹과 제이콥 베켄스타인은
블랙홀의 면적이 곧 엔트로피와 비례한다고 제안했다.이는 나중에 **홀로그래피 원리(Holographic Principle)**로 확장되어
우주 전체 정보량과 엔트로피의 관계를 새롭게 바라보게 했다.
3. 시간의 방향성과 엔트로피
3.1 왜 시간은 앞으로만 가는가?
기본 물리 법칙(뉴턴 역학, 전자기학, 양자역학 등)은
시간을 역으로 바꿔도 성립한다.
→ 하지만 우리는 현실에서
깨진 유리가 다시 붙는 장면을 볼 수 없다.그 이유는 바로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이 ‘미래’이기 때문이다.즉, 우리는 시간의 흐름이 아니라, 엔트로피의 흐름을 경험하고 있는 셈이다.
3.2 볼츠만의 통계적 해석
루트비히 볼츠만은
엔트로피를 확률적으로 해석했다:가장 가능성 높은 상태로 시스템이 진화할 확률이 높다.
→ 따라서, 무질서한 상태가 더 많고,
그 방향으로 ‘시간이 흐르는 것처럼’ 보인다.
4. 열적 죽음과 우주의 미래
4.1 엔트로피의 종착점
우주가 계속 팽창하고,
에너지가 점점 퍼지면
모든 별은 타고, 블랙홀은 증발하고,
남는 건 균일한 저에너지 상태 뿐이다.이 상태는
최대 엔트로피 상태, 즉 **열적 죽음(heat death)**이다.이 시점 이후
우주는 더 이상 정보나 구조, 변화가 없는
시간조차 의미 없는 정지된 상태가 된다.
5. 현대 물리학에서의 활용
5.1 엔트로피와 정보이론
클로드 섀넌은
정보이론에서의 엔트로피 개념을 도입했고,
물리학의 엔트로피와 수학적으로 동일함을 보여주었다.→ 블랙홀, 양자 정보, 통신 이론 등
현대 이론 물리의 여러 분야에서
엔트로피는 정보의 흐름을 설명하는 핵심 도구가 되었다.5.2 우주의 초기 조건 문제
- 왜 초기 우주는 낮은 엔트로피였는가?
- 왜 무질서한 상태에서 시작하지 않았는가?
이 질문은
우주론의 가장 근본적인 미스터리 중 하나로 남아 있으며,
다중우주론, 순환우주 모델 등 다양한 설명이 제시되고 있다.
결론 – 우주는 더 무질서한 방향으로 흐른다
엔트로피 증가는
시간의 방향을 규정짓는 유일한 과학적 화살표다.
그것은- 유리잔의 깨짐
- 커피의 식음
- 별의 죽음
- 우주의 팽창
모든 것의 흐름을 관통하는 원리다.
그리고 그것은
시간의 본질, 우주의 미래, 정보의 운명을 함께 품고 있다.'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측 천문학 (Observational Astronomy) (0) 2025.03.30 우주를 이해하는 핵심 이론들: 바리온 음향 진동 이론 (Baryon Acoustic Oscillations, 2000년대 관측 확립) (0) 2025.03.29 우주를 이해하는 핵심 이론들: 다중우주 이론 (1980년대 제안~현재) (0) 2025.03.28 우주를 이해하는 핵심 이론들: 은하 형성 이론 (1960년대~현재) (0) 2025.03.28 우주를 이해하는 핵심 이론들: 우주배경 중성수소 관측 이론 (21세기 전개 중) (0) 2025.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