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리얌 님의 블로그

살아가면서 필요한 정보들

  • 2025. 4. 17.

    by. Doriyam

    목차

       

      우리는 매일같이 지구의 지각 위를 걷고 있어요.
      그런데 우리가 딛고 있는 이 땅—한반도는 어떤 지질적 역사를 가지고 있을까?
      언제 만들어졌고, 어떤 힘에 의해 지금의 모습을 가지게 되었을까?

      지질학의 시선으로 우리나라를 보면,
      그저 ‘땅’이 아니라, 수억 년을 버텨온 살아 있는 역사서로 느껴질 거야.

       

      📄 지질학 시리즈 9화 – 한국의 지질: 우리가 딛고 선 땅의 이야기

       


      🗺️ 한반도의 기본 지질 구조

      한반도의 땅은 다양한 암석과 지층, 그리고 복잡한 변화를 겪은 결과물이에요.
      크게 보면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어:

      🔹 선캄브리아 지질대 (가장 오래된 땅)

      • 지리산, 광주·대구 주변, 그리고 경기북부 지역
      • 20억 년 전의 변성암류가 분포
      • 편마암, 흑운모편암, 편암 등
      • 지각의 가장 깊은 뿌리로, 매우 단단하고 안정적

      🔹 고생대 퇴적층

      • 태백산맥 일대, 강원 영월, 정선 등
      • 삼엽충 화석 다수 발견 → 고생대 당시 바다였음을 의미
      • 석회암, 셰일, 사암 등 → 석회석 산업 중심지

      🔹 중생대 화강암 지대

      • 한반도 전체에 널리 분포 (특히 중·남부 내륙)
      • 지리산, 속리산, 북한산, 설악산 등 대부분이 이 시기 형성
      • 마그마가 식으며 형성된 화강암, 화강편마암
      • 아름다운 절경의 비밀!

      🔹 신생대 화산활동 지역

      • 대표적으로 제주도, 울릉도, 독도
      • 제주도는 현무암질 용암이 여러 차례 분출되며 만들어짐
      • 백두산도 신생대 이후 활화산으로 형성된 화산체

      🧭 주요 지질 시대별 흔적

      지역주요 암석형성 시기특징
      태백산 석회암, 사암 고생대 해양 퇴적층, 화석 다수
      지리산 편마암, 화강암 선캄브리아~중생대 오랜 지질 운동
      제주도 현무암, 응회암 신생대 화산활동, 용암동굴
      영월 셰일, 사암 고생대 탄산염층, 석탄 자원

      🪨 한반도의 단층과 지진 활동

      우리나라는 판의 경계에서 멀기 때문에 지진 활동이 크진 않지만,
      단층대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고, 지진도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

      대표 단층

      • 양산단층: 경주~부산 지역까지 이어지는 활성 단층
      • 왕곡단층: 강원도 영월 일대
      • 인제단층, 금왕단층 등도 주요 단층

      기억에 남을 지진

      • 2016년 경주 지진 (규모 5.8)
      • 2017년 포항 지진 (규모 5.4)
        → 우리나라에서도 충분히 진도 6 이상의 지진이 가능하다는 경고

      🧭 지질 명소 탐방 추천!

      한반도의 지질은 그냥 책으로만 보면 아쉬워~
      직접 가보면 정말 “아, 이래서 이게 지질학적으로 특별한 거구나!” 느껴지거든 😊

      1. 태백·영월 지역 (고생대 바다의 흔적)

      • 삼엽충 화석 산지
      • 석회암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 동굴, 절벽 등 발달

      2. 제주도 (활화산의 흔적)

      • 한라산, 오름, 주상절리
      • 용암동굴 (만장굴, 용천동굴): 세계적으로도 뛰어난 화산 지형
      •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

      3. 설악산, 북한산, 속리산 (화강암 풍경)

      • 중생대 화강암이 만든 웅장한 절벽과 기암들
      • 풍화·침식 작용으로 만들어진 지형

      4. 백두산 (활화산 + 칼데라 호수)

      • 천지는 화산 분화로 만들어진 칼데라 호수
      • 마지막 분화는 946년경 → 또 분화할 가능성 있음

      🔍 우리나라 지질의 특이점

      1. 지질학적 시간 다양성
        → 선캄브리아부터 신생대까지 전 시기의 암석이 분포
      2. 지질 유산이 풍부
        → 화석 산지, 광물 자원, 지질 명소가 전국 곳곳에 있음
      3. 지질학적 관광 자원
        → 제주도, 한탄강 유역, 태백산 일대는 지질공원으로 지정

      🧱 한눈에 정리

      분류지역 예시지질 특징
      선캄브리아 변성암 경기 북부, 지리산 오래된 지각의 뿌리
      고생대 퇴적암 태백, 영월 해양 화석층, 석회암
      중생대 화성암 설악산, 속리산 화강암 중심 지형
      신생대 화산암 제주, 백두산 화산활동의 흔적

      🌱 마무리하며 – 우리가 딛고 선 땅은 시간의 책이다

      한반도라는 이 땅은 단지 ‘한 조각의 육지’가 아니에요.
      그 속에는 수십억 년의 시간, 바다와 화산, 대륙의 충돌, 그리고 지질학적 생명력이 담겨 있어요.

      다음에 산을 오르거나, 해변을 걷거나, 동굴을 찾게 된다면—
      그곳이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살짝 상상해보는 건 어때요? 😊


      🔜 다음 이야기 예고

      이제 시리즈 마지막 이야기, 에필로그 – 태양계 너머, 우리를 기다리는 우주로 이어질 거야.
      지구라는 행성을 깊이 들여다봤으니, 이제 그 시선을 지구 바깥, 우주를 향해 넓혀보자!
      우리가 살아가는 이 행성의 지질학적 여정을 우주적 시선으로 마무리해볼게.